유물을 만나다 (1)달항아리
- 작성자 학예사
- 작성일 2019-02-11
- 조회수 5270
상명대학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백자 중에서 달항아리는 조선시대의 조형미를 대표하는 귀중한 유물이다. 이 유물은 항아리의 형태가 달처럼 둥글어 달항아리하고 한다.
달항아리는 조선시대 숙종 말부터 약 100여 년 동안 제작되었다가 생산이 중단되었다. 조선시대 백자는 초기에는 왕실에서만 쓰였고 15세기 후반부터 조선말까지는 서민의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백자가 널리 쓰였다.
20세기 초 외국인의 기록에 보면 달항아리가 일반 가정에서 음식 저장용기로 쓰였다고 한다. 달항아리의 형태는 보름달처럼 둥그런 형태이며 항아리의 전체에 물레자국이 자연스럽게 남아있다. 달항아리의 최대지름과 높이가 거의 1대 1의 비율을 이루는데 일본과 중국의 도자기에서는 이러한 기형을 찾아 볼 수 없다.
달항아리는 상하의 부분을 따로 만들어 접합하여 완성하였다. 항아리를 위, 아래 부분으로 따로 만든 이유는 조선시대 당시의 백토의 질이 좋지 않아서 하나로 만들면 주저앉아 버렸기 때문이다. 달항아리는 위, 아래를 접합하였기 때문에 완벽하게 좌우 대칭을 이루지 않는다. 이 유물의 입 부분은 다른 달항아리와 달리 비교적 낮고 직각으로 벌어졌으며 입 부분이 얇은 편이다. 굽은 접지면이 얇고 굽 안 바닥이 깊다.
달항아리의 비대칭의 형태는 조선시대 백자의 조형상의 특징이다. 유교에서는 백자를 일컬어 ‘단순한 형체와 색채를 통하여 극도의 욕망을 극도로 절제하면서 고도의 정신적 경지를 표현하고 있다’라고 하였다. 무늬가 없는 순백의 달항아리에서 유교에서 일컫는 조선인의 절제미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조선 백자의 순백색은 인간의 욕망을 극도로 절제하면서 고도의 정신을 상징하고 있다.
유교의 철학적 사유를 빌어 백자의 미를 표현하자면 ‘백자의 순수하고 맑은 백색과 자연스럽고 절제된 선비의 맛을 지닌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선인의 미적 취향이 가장 잘 나타난 것이 달항아리이다.